그냥 편지

posted Dec 26,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옛날에 헐리우드극장이었던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얼마전까지 알랑들롱 회고전이라고 영화 몇 개를 모아서 재상영을 했었는데 지난 수요일에 거기 가서 중3때 마포극장에서 동시상영으로 처음봤던 '호메스'를 25년만에 다시 봤다. (웬 우연이냐. 아무튼 이번 상영 제목은 호메스는 아니고 세 번째 희생자였나 그랬던 거 같다.) 몹시 좋아하던 영화라 안보는 게 낫지 않을까 싶어서 꽤 고민을 했었는데 그래도 너무 보고 싶어서 못 참고 그냥 봤다. 근데 꽤 재미있었다. 여전히 멋져 보이고 음악도 좋고 (끌로드볼링) 이야기도 빠르고 기분 좋더라. 그런데 그 때 루지탕(le gitan), 부메랑, 후리크(flic story - 나 이거 몹시 좋아한다.) 등 세 글자로 된 알랑들롱의 영화들이 연속 히트하던 중이라 제목을 할 수 없이 호메스로 하고 묻어가려 한 게 아닌가 싶다.  le gang도 세글자로 어찌 해보려고 하다 그냥 레갱으로 참았다는 이야기도 어서 들었던 거 같다. 인생이 고해다, 진짜.

    아무튼 영화의 번역제목이란 건 힘들어도 그냥 양심에 맡기고 참아야 되는 거 아닌가 싶다. 번역뿐 아니라 처음 제목 붙이는 것에도 불만이 생길 때가 많지만 지가 쓴 글에 지 맘대로 제목 붙이겠다는데 뭐라 하겠냐. 의도가 있다면 그러려니 해야 할거고 무식해서 용감한 거라 해도 그러려니 할 수 밖에 없는 거 같다. (욕은 당연히 좀 해줘야하겠지만) 영화 수입가격엔 지 맘대로 번역제목 붙이는 가격도 포함된 거 아니겠냐. 제목이 엉망인 것도 문제지만 전국민이 영화평론가인 판에 제대로 된 한국어 영화 DB도 없다는 게 더 문제인 거 같다. 한마디로 겉으로 보이는 거 보다는 다들 별로 관심도 투자도 없다는 이야기일 거 같다. 엉터리 같은 제목이라도 누군가가 꼬박꼬박 정리해준다면 짜증은 훨씬 덜 할 거 같은데.

    불어, 이태리어를 하는 기자나 평론가가 많아지면서 오히려 유럽영화가 형편없이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던 거 분명히 기억난다.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 정도의 제목으로는 참아줄 수 없는 사람들이 많아진 게 그 이유 중 하나가 아닌가 싶다. 그때 영화의 홍보수단 중 굉장히 비중이 컸던 영화음악실 같은 데에선 수입되면 히트할만한 유럽영화에도 아예 우리말 제목을 붙여보려 하지도 않았었던 거 같다. 불어에 능란한 DJ덕에 오히려 그 쪽 영화가 소외된 것 같은 기분은 나만 그런 건가.

    내가 KINO를 보면서 짜증을 냈던 것도 그런 거랑 비슷한 맥락이었던 거 같다. 키노가 없을 때도 한국영화는 고민해야 될 때는 고민했었던 거 같다. 입 잘못 놀리다간 고달퍼지니 참았을 뿐이지. 한국영화가 좋아진 것은 세상이 좋아졌기 때문이지 소위 90년대가 문화담론의 시대니 어쩌니 하는 거랑은 상관이 없다고 생각한다. (영화란 걸 읽어야 되는 걸로 만들어준 덕에 그냥 보기만 해도 그만인 한국영화의 시장을 키워준 공은 있는 거 같긴 하다.) 이러니 저러니 해봤자 지금 남은 것은 조폭영화랑 소 몰듯 워워~해대는 사이비 R&B뿐이지 않냐. 중요한 것은 책임감보다는 유머감각이라는 생각은 나이를 먹을수록 더 많이 하게 된다. 나이와 함께 유머감각도 말라가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는 게 슬프긴 하지만.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