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lcome Page
    • drawing
    • photos
    • cinema
    • essay
    • poems
    • music
    • toons
    • books
    • mail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posted Sep 18,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choi.jpg

 

- 최인호 (2011, 여백)

최인호라는 소설가를 가졌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축복이다. 그가 내뿜는 에너지는 (그렇다. 그는 에너지를 내뿜는다.)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그는 염세적이지도 않고, 가식적이지도 않으며, 이름난 작가들이 항용 그러듯 세상을 삐딱한 시선으로 바라보지도 않는다. 거의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그의 작품세계에 관한 나의 이런 느낌은 편견에 가까울 것이라는 점이다. 나는 최인호 선생을 만나 여러 시간 동안 동행하면서 그의 매력에 빠져버렸으니, 어찌 나의 독후감이 공정할 수 있을 것인가.

1945년생인 최인호 선생을 만나 뵌 것은 2002년이었다. 환갑을 목전에 앞둔 연세였음에도, 선생의 재담은 옆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고양시키는 활력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째서 여태도 선생을 소개하는 글에는 ‘청년’ 또는 ‘청년문화’라는 표현이 빠지지 않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렇다고 해서, 막무가내식의 큰 소리로 분위기를 띄우는 부류의 사람을 상상하면 곤란하다. 선생의 표정, 말투, 손짓 하나하나가 인생의 모든 사소함을 긍정하는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었다는 뜻이니까.

안부를 전하는 일을 게을리 하고 있었는데, 선생께서 침샘암으로 투병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큰일 났다 싶어 전화를 드렸는데, 수화기 너머로 들려오는 선생의 음성은 (아마도 투병의 흔적으로) 몹시도 쉰 목소리였지만, 그의 활력은 변함이 없었다. “아- 이번에 인생 공부 아주 제대로 했어요”라며 웃으시는 바람에, 괜찮으시냐는 나의 질문이 멋쩍을 정도였다. 그간의 근황을 적은 편지를 보냈고, 어제 선생의 편지와 저서가 나에게 배달되어 왔다. 출판계에서 악명이 자자한 그의 악필이 원고지 여러 장 분량의 따뜻한 안부를 나르고 있었다. 투병중에 출간된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오늘 읽었다. 그 책의 서문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정확히 두 달 만에 쓴 장편소설이다. 두 달 동안 나는 계속 항암치료를 받았고, 그 후유증으로 손톱 한 개와 발톱 두 개가 빠졌다. 아직도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원고지에 만년필로 소설을 쓰는 수작업을 고집하고 있기 때문에, 빠진 오른손 가운데 손톱의 통증을 참기 위해 약방에서 고무골무를 사와 손가락에 끼우고 20매에서 30매 분량의 원고를 매일같이 작업실에 출근해서 집필하였다. (생략) 몸은 고통스러웠으나 열정은 전에 없이 불타올라 두 달 동안 줄곧 하루하루가 ‘고통의 축제’였다."

아아, 아직 망가지지 않은 육신을 가지고 나는 도대체 무얼 하고 ‘자빠져’ 있는 것인가. 언론보도에 따르면, 선생은 이 책의 출간 후 출판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여러 도시를 돌아다니며 싸인회를 개최하셨다고 하거니와, 작품 속에는 작가 스스로가 ‘열정’이라 표현한 단거리 질주의 활력이 넘쳐나고 있었다. (활력이나 에너지라는 말을 너무 자주 반복할 수 밖에 없음을 용서하시라.)

금융회사에 잘 다니고 있던 주인공 K는 어느 날 자신의 주변에서 낯선 느낌을 받는다. 처음 그의 자명종과 스킨 로션에서 시작된 그 느낌은 자신의 가족과 친구에게로 이어지고, 처음 만나 낯설어야 마땅할 사람들이 마치 “특별히 눈에 띄지 않는 단역배우들이 제작비를 아끼기 위해 작은 배역들을 나눠 맡듯” 낯익어 보이기 시작한다. 낯섬과 낯익임은 그래서 이음동의어라는 작가의 표현은 촌철살인적이다. 그렇다. 모든 사람의 장점이 바로 그 사람의 단점인 것이고, 고통은 축제이고 축제는 고통이며, 색은 공이고 공은 색인 것이다.

주인공 K는 자신이 어떤 조종자의 음모에 의해 “거대한 연극무대의 세트” 속에 던져진 것이 아닐까 의심한다. “그러나 모순은 존재한다. 진실처럼 보이는 진리가 진리가 아니고 궤변이듯, 이 가상의 연극 무대 위에서 실수로 놓친 모순들이 조금씩 조금씩 궤도를 이탈하고 있다.” 주인공이 매우 낯익으면서도 낯선 새로운 세계 속에 던져진다는 설정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최근작 <1Q84>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의 최인호 선생이 하루키를 흉내 냈을 리는 만무하니, 아마도 낯익음 속에서 낯섬을 발견하고 삶의 진위에 대해서 품는 의심은,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복제물들, 시뮬라시옹과 시뮬라크르가 횡행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 속을 살아가는 우리가 널리 공유하는 정서인 모양이다.

주인공 K가 결국 세상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혹시 자신이 가짜인 것이 아닐까 의심하는 대목에서 독자가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인식의 돌파(conceptual breakthough)는 대단히 SF적이다. 주인공 K의 의심은, 필립 K. 딕의 걸작 단편 <Imposter>에서 외계의 첩자 협의를 받고 정보부에 쫓기던 주인공 올햄이 “혹시 내가 정말 스파이용 안드로이드가 아닐까”라고 의심하는 대목을 닮아 있다. 그러나 작가 최인호의 개념적 돌파는 SF적인 반전에서 그치지 않는다. 스포일러가 될 터이므로 더 자세한 줄거리를 밝히지는 않겠지만, 반전 이후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서 전개되는 내용은 주인공의 - 그러므로 모든 독자들의 - 구원과 닿아 있다.

최인호 선생은 고교시절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무려 50여년의 작가활동 중 수백 편의 소설을 썼지만, ‘고통의 축제’ 속에서 쓰여진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기에 손색이 없었다. 어제 받은 소포 속에는 어머니에 관한 선생의 소설 <천국에서 온 편지>도 함께 들어 있었지만, 그 책에는 선뜻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읽다 보면, 장남인 처지에 노상 외국으로 떠도느라 내가 품고 사는 어머니에 대한 미안함을 감당할 길 없어질 것 같아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