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 독후감 잘 읽었어. 도입부의 짧은 글이지만 참 잘 쓴다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내 이야기를 굳이 꺼내준 다정함이 푸근했고. 인용한 구절들을 보면서, 내가 그 책을 읽고선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사실은 내속에 뚜렷하게 흔적을 남긴 말들이 많았구나 하고 놀랐다.
"책을 쓰는 사람은 '집필하는 동안 직면하는 기댈 곳 없음'을 감당해야 한다. 여기저기 쓴 글을 긁어모으는 것이 아니라 일관성 있는 책을 쓰려 한다면 더더욱 그래야 한다. 아는 내용을 아는 방식으로 쓴다면, 그것은 쓰는 것이 아니다. 물론 개괄적인 계획은 있다. 오랫동안 작성해온 노트도 있다. 자료도 충분히 모아왔다. 하지만 쓴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우연성에 몸을 맡기는 일이다. 모르는 내용, 알 리가 없는 내용을 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망연해 하는 일이다. 깊이 자실(自失)하는 일이다."
-사사키 아타루, 안천 옮김, "야전과 영원", 서문
얼마전 아는 친구가 내게 보내준 메모야. 김 훈 작가가 '밥벌이의 지겨움'이라고 했던가, 글쓴다는 일의 의미를 곱씹어보면서 참 많을 것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건강하게 다시 보자
- C
Food for Thought
Books
번호 | 제목 | 날짜 | 조회 수 | 추천 수 |
---|---|---|---|---|
67 | <회복된 세계>에 관하여, Kurt Campbell | 2021.02.22 | 72 | 0 |
66 |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 2020.05.09 | 78 | 1 |
65 |
한식의 품격
![]() |
2018.09.24 | 123 | 1 |
64 | The Life and Times of the Thunderbolt Kid | 2017.07.08 | 81 | 3 |
63 | 역사소설과 대체역사소설 | 2017.07.07 | 233 | 1 |
62 |
일본론 몇 권
![]() |
2016.07.27 | 593 | 10 |
61 |
소설가의 일
![]() |
2016.07.27 | 641 | 6 |
» | →답장 | 2016.07.29 | 168 | 8 |
59 |
13.67
![]() |
2016.07.17 | 221 | 10 |
58 | 2015년, 몇 권 | 2016.02.02 | 624 | 6 |
57 |
죽은 원조
![]() |
2015.10.29 | 902 | 17 |
56 |
로산진 평전 / 로산진의 요리왕국
![]() |
2015.09.11 | 668 | 10 |
55 |
내일 우리 가족이 죽게 될 거라는 걸, 제발 전해주세요! (We wish to inform you that tomorrow we will be killed with our families: Stories from Rwanda)
![]() |
2015.07.15 | 516 | 7 |
54 |
회복된 세계(World Restored)
![]() |
2013.02.28 | 914 | 72 |
53 | →헨리 키신저을 위한 변론 - 로버트 카플란 (May 2013, Atlantic Monthly) | 2013.07.05 | 989 | 66 |
52 | →키신저의 의미 - 닐 퍼거슨 (Foreign Affairs Aug 18, 2015) | 2016.02.14 | 4865 | 17 |
51 |
료마가 간다(竜馬がゆく)
![]() |
2012.01.15 | 1304 | 77 |
50 | →재미있게 읽었어요 | 2012.01.19 | 938 | 84 |
49 |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 |
2011.09.18 | 977 | 70 |
48 | →최선생님, 하늘나라에서 편안하시기를 빕니다. | 2013.09.26 | 620 | 53 |